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홍대 여드름 혼자 열심히 관리했지만

가벼운 발걸음으로 2025. 3. 11. 18:44




정말 열심히 관리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홍대 여드름이 나고 있어서 좌절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글을 볼 때마다 진하게 남아 있는 홍대 여드름 자국은 물론 흉터를 보면서 속상해하고 계신 분들 많을 텐데요.



그동안 화장품이 맞지 않는 건가 싶어 화장품을 바꿔보기도 했지만 여전히 여드름이 계속 올라왔다면 이제는 더 이상 혼자 스트레스를 받아가며 속상해하실 것이 아니라 진단을 받아보시는 게 좋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홍대 여드름에 대해 말해보자면 피지선에 발생한 염증을 말하는데요. 피지선은 얼굴과 목, 가슴 등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부위에 여드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답니다. 또 사춘기 시기에 주로 생기다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최근에는 성인이 되고 나서도 계속 여드름이 생겨서 고민을 하시는 경우가 많답니다.




그리고 여드름이 생기게 되면 면포와 구진성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 결절 및 낭종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면포는 모낭 속에 고여 있는 딱딱해진 피지를 말합니다. 개방 면포와 폐쇄 면포가 있는데 블랙헤드와 화이트 헤드라고 생각을 하시면 된답니다. 또 구진성 여드름은 붉은색의 곪은 형태인데요. 통증이 있습니다. 초기 여드름을 방치할 경우 여드름균이 증식하면서 염증이 생긴 것이랍니다. 



그리고 화농성 여드름은 염증이 악화되면서 노랗게 곪은 것을 말하는데요. 고름이 피부 표면으로 들어가면서 조직을 파괴하여 흉터가 생길 수 있답니다. 또 결절 및 낭종은 화농성 여드름이 더 진행되면서 피부 속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고 염증이 심해져 아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드름이 생긴 것을 방치하게 되면 점점 염증이 심해지게 되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짜다가 잘못 짜게 되면서 피지가 피부 안쪽으로 터져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게 되거나 패인 흉터가 생기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 만큼 함부로 짜서는 안 된답니다.





그리고 현재 홍대 여드름이 너무 심해서 관리를 하고자 한다면, 또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로, 흡연, 음주를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 강하고 잦은 세안은 피해야 하는데요. 지나치게 세수를 하게 될 경우 오히려 피부에 자극이 가게 되는 경우가 많답니다.



또 턱을 괴고 있거나 엎드려 자는 것은 피부의 압박이 가해지거나 마찰 같은 압박이 가해지는 등으로 인해 여드름이 더욱 심해질 수 있는 만큼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또 함부로 손을 이용해서 짜는 것은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때 흉터를 남기기 쉽기 때문에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육류나 인스턴트 위주의 식사를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요. 대신 채소나 과일, 적절한 곡류를 골고루 섭취하는 게 좋답니다. 또 특정 음식을 먹고 나서 여드름이 더 생기는 것 같은 경우에는 음식에 대한 일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원인이 될 수 있는 음식에 대해 파악하고 피하는 게 좋답니다.



또 화장을 하고 있는 시간을 줄이면서 피부를 깨끗하게 지우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선텐을 즐기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과하게 선텐을 하게 되면 피부와 모낭을 두껍게 만들어 만들어서 홍대 여드름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답니다.




또 홍대 여드름 치료를 진행하게 될 때는 바르는 약과 복용하는 약, 외과적 치료로 진행하게 되는데요. 이 중에서 외과적 치료 방법에 대해 보자면 먼저 압출 치료가 있습니다. 압출 치료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유는 집에서 압출을 하려다가 오히려 흉터가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꼭 내원하셔서 압출을 하시기 바라는데요. 이는 병원에서 압출을 하게 될 경우 모공 입구를 깨끗하게 세안한 다음 뜨거운 수증기로 모공을 넓혀주기 때문입니다. 그 후 특수한 기구로 여드름을 짠답니다.



또 박피술로도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는데요. 박피술을 진행하게 되면 각질이 벗겨지면서 막혀있던 모공이 일시에 열리게 되고, 염증이 가라앉게 된답니다. 이때 다른 바르는 약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